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테마주(관련주)

국제 곡물 가격상승 관련주와 국제 곡물가격 그래프 추이

지난해 들이닥친 중국 대홍수와 서남아시아를 휩쓴 메두기떼의 습격으로 올해는 식량 부족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실제로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주식 투자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를 잘 반영하듯 중공에서는 먹방을 정부에서 단속하고, 음식낭비를 하지 말라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 이미 식량부족사태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혹이 붉어지고 있다. 워낙 대외적으로 숨기는게 많은 나라다보니 이정도 소식이 외부에 전해졌다면 의외로 좀더 심각한 식량 부족이 일어나고 있을수도 있다.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양돈이나 양계 등, 가축 사육산업에게는 사료가격의 폭등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식량난이 올수 있어 식품관련주들이 들썩일수 있다. 

그럼 먼저 현재 국제 곡물가격 그래프를 통해 곡물가격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미국 옥수수 가격 그래프

미국 옥수수 선물 그래프(5년 기준)

 

미국 대두 가격 그래프

미국 대두 선물 그래프(5년 기준)

 

미국 소맥 가격 그래프

미국 소맥 선물 그래프(5년 기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5년 동안의 가격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모두 최근에 급격한 가격 상승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 곡물 소비량이 가장 많은 중공에서의 지난해 홍수피혜는 대량의 식량부족 및 사료부족 사태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올해 농사를 지어 가을에 수확하기 전까지 국제 곡물 가격은 지금의 가격 상승세를 계속 이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국제 곡물 가격 상승 수혜주

국제 곡물 가격 상승 수혜주하면 제일 먼저 농업관련주들이 언급되는데 주로 사료관련주, 비료관련주, 종묘 관련주,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팜 관련주 등이 거론된다. 여기에서는 농업관련주들만 간단히 정리해보자.

 

 

 

이지바이오(이지홀딩스)

배합사료와 사료첨가제를 제조 판매, 사료첨가제에 옥수수와 소맥등의 곡물비중이 낮아 원가상승에 따른 부담은 적은 반면, 사료 가격 인상은 가능해서 상승 수혜주

 

남해화학

비료,화학제품 국내1위

 

경농

농약 제조 판매.주요계열사로 조비가 있다 농번기인 3~6월에 매출 집중. 

 

조비

비료회사로 국제 곡물가격 상승히 수혜

 

효성오앤비

농협계통 유기질비료 납품부문 선두 업체로서, 주요 제품은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펠렛), 혼합유기질(펠렛), 유기복합(펠렛), 부숙유기질, 기능성 바이오제품 등이 있음. 비료의 대부분의 판매는 농협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비료가격 또한 매년 농협과 공급가격을 체결하여 소비자인 농업인들에게 공급함. 매출 구성은 유기질비료 62%, 상품 38% 등으로 이루어짐.

 

아시아종묘

종자를 개발하고 생산. 파종시기에 맞춰 1분기에 매울 집중. 2004년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작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종자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음. 동사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수집해 고품질의 품종 육성을 지향하고 있음.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배추 등 기능성 품종 개발에 몰두중임. 동사는 국내 3곳(이천,해남 및 김제), 해외 2곳(인도법인, 베트남법인)에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음

카프로

효성계열사로 국내 유일 카프로락탐 제조 판매, 카프로락탐은 나일론의 원료. 국내 최대의 유안비료 생산업체. 카프로락탐과 유안비료 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의 90%이상을 차지.

 

농우바이오

1990년 6월 종자 육종 및 육성연구에 대한 제반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수원시에 본사를 두고 경기도 여주군 등에 육종연구소와 지점을 설치/운영하고 있음. 주요 매출원은 고추, 수박, 무, 배추 등 각종 종자매출이며, 원예 및 수도용 상토사업도 영위중. 동사 추정자료에 의하면 팜한농, 사카다, 다나, 더기반, 코레곤 6개사가 전체 종자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동사의 국내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음.

 

팜스토리

배합사료, 양돈사육, 도계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계열회사는 29개사를 보유하고 있음. 동사의 경쟁력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가족사의 우수한 업무연계성에 있으며, LPC의 도축, 가공 능력 또한 위생과 규모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육가공사업부의 경우 돼지도축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20년 시장점유율은 3.46%이며, 2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대동공업

농업용기계를 전문적으로 생산 및 판매하는 국내 농기계전문업체임. 농기계용 엔진 및 제품을 국.내외에 영업소, 해외종속법인 및 기타 해외거래처를 통하여 판매함.  주요제품은 트랙터, 콤바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제휴를 통한 Tier4 엔진을 개발하여 2013년부터 중소형 트랙터를 출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