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2017년 건설기계 업황 전망 정리


증권사 추천종목에 건설기계 부품 관련주가 올라오고 있어 건설기계 업황전망을 정리해 봤습니다.


올 초부터 꾸준히 예기되어오고 있는 부분이지만 이것이 실제 주가에 반영되는 타이밍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듯 싶습니다. 


올해 현재시점에서 전망되는 건설기계 업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으로 건설기계 수요 증가

미국 트럼프의 1조달러 인프라투자 공약

신흥국 인프라투자 증가


중국의 일대일로

다음은 KOTRA 와 대외자료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를 기반으로 건설기계 관련 내용을 요약해보았습니다.


- 1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핵심과제로 지역경제 발전을 정하고, 이를 위한 실천 방안으로 '일대일로' 계획을 추진

- 일대一带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경제권' 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함.

- 일로一路는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해 서남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 계획.



추진현황 개요

- 2013년 카자흐스탄 한 대학에서 실크로드 경제권과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구상 발표

- 2014년 4월 중국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 구상을 제기후 같은해 10월 아시아 21개국과 AIIB 창설 MOU 체결.

- 중국은 한국과 호주와의 FTA를 통ㅇ해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협의 중.

- 2014년 12월 가쑤성, 란저우, 신장.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를 연결하는 1776km 길이의 고속철도 전구간 개통.

- 2014년 12월 구이저우성, 구이양, 광둥, 광저우를 잇는 856km 구간과 광서장 자치구, 난닝, 광저우를 잇는 574km 구간 고속철도도 개통.

- 2017년 5월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일대일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내외 고위급 인사 약 1,200명을 초청하여 「2017 일대일로 국제협력 고위급 포럼(2017国际合作高峰论坛, 이하 <포럼>)」을 개최


◈ 교통부문 추진상황

2013년 10월부터 2016년 6월 말까지 ‘일대일로’ 참여국들의 수주를 받아 건설한 교통인프라 프로젝트는 총 38건으로 ‘일대일로’ 연선국가 26개국과 연결되며, 중국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0조 6,000억 달러, 연평균 약 2조 1,000억 달러 규모의 교통인프라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



◈ 에너지부문 추진상황

2013년 10월부터 2016년 6월 말까지 중국 국유기업이 해외에서 체결 및 수주한 △발전소 △송전 △송유관 등 중점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는 40건으로 2016년 상반기에만 16건을 체결하였으며,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연선국가 19개국이 연결됨




미국의 1조달러 인프라투자 

트럼프 대통령 선거시 1조달러 인프라 투자 공약. 

미국 건설 중장비 시장은 2018년부터 본격적인 시장 회복을 전망되고 있었으나, 트럼프 공약으로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음.

트럼프 1조달러 인프라투자에서 건설중장비 굴삭기 및 휠로더 비중 증가 전망.




신흥국 인프라투자 확대 

인도 인프라투자 확대. 

인도는 2013년부터 12차 경제계획에 따라 평균 GDP대비 8.1%의 투자 예정. 특히 올해는 GDP 대비 9%를 투자할 계획.

건설기계중 굴삭기는 현재 27%, 2019년에는 약 29% 투자 예상.



지면상 간단하게만 요약하였습니다. 좀더 상세한 내용은 각 증권사별 리포트를 참조하면 알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