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모으기(저축)

우량 저축은행 찾는 방법 2- 자기자본비율 5%이상

앞 포스팅에서 우량 저축은행 찾는 판단기준 5가지에는



가 있다는 걸 알아보았고,

그 첫번째 기준이 되는 88클럽에 들어가는 저축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 이전글 보러가기)


그럼 이번에는 두번째 기준이 되는 BIS가지 자본비율이 

5% 이상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BIS 자기자본비율이란 

BIS 자기자본비율이란 국제결제은행 은행감독규제위원회(바젤위원회)에서 정한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 자본의 비율을 정한 것. 그렇지만 실제로 BIS 기준은 부채 청산시 부채를 갚은 뒤에 마지막으로 갚아도 되는 채권인 '후순위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면 자기자본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순수한 자기자본비율을 나타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수한 자기자본 비율을 알기위해서는 부채 성격이 있는 후순위 채권이 자기자본으로 편입되지 않는 자기자본 비율을 알아야 하는데 이것이 자기자본 비율로 이 수치가 5%이상이면 안정적이라고 본다.


여기에 주식을 하는 분들이라면 우량주가 무엇인지, 그 개념에서 알수 있듯이, 지난 3년 간의 기업 당기순이익이 흑자일 경우 우량기업으로 보는 것처럼 저축은행의 우량정도를 파악할때도 지난 3년간의 당기순이익이 흑자를 내고 있는 저축은행이 우량하다고 볼 수있다.  


자기자본 비율 확인방법 


1.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www.fsb.or.kr)로 들어가 왼쪽 하단의 저축은행 공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경영공시 메뉴에서 본인이 확인코자 하는 은행을 선택합니다. 저는 예를 들어 현대 저축은행을 선택했습니다.



3. 영업개황, 재무개황, 손익현황, 기타 사항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손익현황표에서 맨 아래부분 당기순이익을 확인합니다.

현대저축은행의 경우 당기순이익이 올해 1분기에 110억원으로 흑자를 확인했습니다. 전년도 이맘때에는 101억의 흑자로 확인됩니다.




4. 이번에는 BIS 자기자본 비율을 확인합니다. 

BIS자기자본비율이 15.78%로 우량한 것으로 보입니다.  BIS 비율의 경우 최소 7%이상부터 우량하다고 보고, 수치가 높을 수록 건전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번에는 순수자기자본비율을 알아봐야겠죠..


5. 경영공시 화면의 맨위쪽으로 가서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통일경영공시 파일이 받아집니다. 여기에서 경영실적 > 자본적정성지표 부분을 보면, BIS 기준기본자본비율 아래에 단순자기자본비율 항목이 있습니다. 이부분이 5%이상이면 우량한 것으로 봅니다. 

현대저축은행의 경우를 보면 단순자기자본비율이 13.53%로 우량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 오늘은 저축은행 건전성 항목중에 자기자본 비율을 통해 안전성 여부를 판단해보았습니다. 이 항목 하나로 우량한 저축은행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니 위에서 제시된 5가지 항목 모두를 살펴보아야 하겠습니다. 


저축은행 선택에 있어서 적금이나 예금 뿐만 아니라 대출시에도 우량 저축은행 여부를 꼭 따져봐야 차후에 어려움을 겪지 않습니다. 대출의 경우도 대출 받은 저축은행이 부실에 빠지거나 부도가 날경우 내가 받은 대출에 대한 은행 채권이 대부업체로 팔려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용등급에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고, 차후에 빚독촉에 시달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얼마전에 현대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분들이 이 저축은행의 매각 소식을 들으면서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것을 보았는데요, 이처럼 저축은행의 소유권 이동시에는 간혹 예금자나 대출자들의 피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따져보는거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