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모으기(저축)

삼일 상호 저축 은행 우량 저축은행 판단방법


저축은행은 일반 시중은행보다 예금 금리가 높아서 많이들 이용하는데요, 이때 통장을 만들기 전에 꼭 먼저 해야 하는게 이 저축은행이 우량한 저축은행인가를 따져봐야 합니다. 


저축은행이 부도가 나도 5000만원 이하 한도내에서는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돈을 돌려 받을 수 있지만 만약 이보다 많은 금액을 넣어두었다면 5000만원까지 밖에 찾지를 못하게 됩니다. 


이때 돈을 찾기 까지는 다소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만약 급한 돈일 경우에는 2000만원까지만 입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량 저축은행 판별법은 아래 목록을 둘러보세요


우량 저축은행 찾는법

우량 저축은행 찾는 방법 1 - 88클럽 가입여부

우량 저축은행 찾는 방법 2 - 자기자본 비율 5%이상

우량 저축은행 찾는 방법 3 - PF대출 규모 

우량 저축은행 찾는 방법 4 - 지점수와 자산규모


그럼 삼일 상호 저축은행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삼일 상호저축은행은 1983년 개설당시 보성상호신용금고로 시작해서 89년 8월에 삼일 상호신용금고로 상호를 변경했다가 다시 2002년 3월에 삼일 상호저축은행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다가 2016년 7월에 머스트삼일저축은행으로 최종 상호가 변경되었습니다.


본사위치는 경북 포항시 북구 양덕동에 위치해있고, 지점은 북구 장량로에 있습니다.


그럼 위의 우량저축은행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88클럽 저축은행인가?

88클럽이란 BIS자기자본비율8%이상, 고정이하여신비율 8% 이하일때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먼저, BIS자기자본비율을 살펴보면 전년동기는 8.01%로 조건을 충당했는데, 올해 2분기말까지의 결과를 보면 8% 미만으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을 보면 총여신 675.7억에서 고정이하분류여신을 퍼센트로 환산하면 7.7% 정도가 됩니다. 8%이하므로 해당됩니다.


88클럽 가입은 현재로서는 미달이지만, 작년 8.01%에 이어 올해 7.25%에 근접 하고 있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8%이하이므로 크게 나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2. BIS자기자본비율 5% 이상

BIS자기자본비율은 위에서 살펴본대로 현재 7.25% 이사이므로 조건에 부합합니다. BIS자기자본 비율이 5%가 넘는 우량 저축은행 기준은 만족. 88클럽에는 아쉽게 해당이 되지 않지만 BIS 자기자본비율만으로 보면 우량하다 할 수 있습니다.


3. 3년 연속 당기 순이익이 나고 있나?

이 부분은 아래와 같이 경영공시에서 제시가 되어 있지 않아 판단이 어렵네요..

4. PF대출 규모

PF대출이란 돈을 빌려줄때 사업자의 신용이나 담보에 기반하지 않고, 사업 자체의 경제성을 판단기준으로 해서 돈을 빌려주는 걸 말하는데,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으로 자금을 돌려받게 되는 방식입니다. 주로 현장에서는 경제적 재산성을 가진 부동산 개발 관련사업에서 PF대출이 진행되기 때문에 거의 부동산PF대출이란 항목으로 기재가 됩니다.


건설경기가 활황일때는 문제가 적지만 경기가 안좋거나 부동산 시장이 불안정 할때는 저축은행의 부도사태의 주범이 되는게 바로 이 부동산PF대출 비율인데요.. 우량 저축은행 판단기준은 대략 이 대출 연체율이 20%를 넘지 않은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삼일상호저축은행의 경우는 이 부동산 PF대출의 연체율이 100%에 이르고 있어 위험군에 들지 않나 싶습니다.

 

5. 자산규모

삼일상호저축은행의 총자산은 현재 941억으로 작은 편에 속합니다. 자산 규모는 다른 저축은행들과 비교해 보면 알수 있을텐데요..물론 자산규모가 크다고만 우량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아무래도 자산이 많은 경우는 왠만한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예기기 때문에 자산규모를 우량 저축은행 판단기준의 하나로 여기는 거겠죠..


점포수도 많은 것이 좀더 안정적이란 예기인데..점포수는 하나입니다. 점포수의 경우 요즘은 인터넷, 모바일 뱅킹으로 가는 추세라 딱히 많다고만 좋은 건 아닌듯 싶습니다.



전체적으로 삼일상호저축은행, 현재는 머스트삼일저축은행의 우량 저축은행 여부를 살펴봤습니다. 일부 항목은 해당되고 일부 항목은 해당되지 않는데요, 각자 판단을 해 보셔야 하구요.. 예금은 예금자보호가 되는 5천만원 이하에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